본문 바로가기

금값 추이2

달러 약세에 따른 금값 관심 확대 전망 [나의 공부] - 연준 양적완화 역사와 금값의 상관관계 앞선 포스팅에서는 연준 양적완화와 금값의 역사를 비교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바라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값이 왜 앞으로 매력적일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조사해보겠다. 달러 인덱스와 국제 금 시세 그래프이다. 그래프와 같이 금값과 달러인덱스는 데칼코마니처럼 서로 반대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금값은 달러인덱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달러의 힘이 약해지면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가 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값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달러인덱스를 보는 것이 타당한 것인데, 코로나 후 미국에선 무제한적 양적완화를 시행하고 있으니 달러는 앞으로 약해지기만 하는가? 2021년 1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경기.. 2021. 1. 17.
연준 양적완화 역사와 금값의 상관관계 2008년 금융위기 때 Fed의 대처(양적완화)를 보면 위기 이후 경제 정상화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009년 3월 ~ 2010년 6월 1차 양적완화 010년 9월 더블딥 발생 2010년 11월 ~ 2011년 6월 2차 양적완화 실시 2011년 8월 미국신용등급 강등, 유럽재정위기 발생 2012년 9월 ~ 2013년 6월 3차 양적완화 2015년 12월 기준금리 인상 시작 이처럼 Fed는 금융위기 때 경기가 좋아진다 싶으면 양적완화를 종료했다가 경기가 나빠지면 다시 시행하는 방법으로 경기를 조절했다. 이를 일명 fed의 '밑장빼기'라고 하는데 미세한 조정을 통해 시장의 반응을 보면서 경기를 조절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런데 이번 코로나 사태에는 쌓인 부채가 너무 많아 Fed에서 섣불리 밑장빼기 전략.. 2021.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