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디글로벌 사기, 외화RP사칭 피해 지급정지 빠른상담
최근 고수익을 미끼로 한 온라인 외환(FX) 투자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에이디글로벌(AD Global)’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된 가짜 플랫폼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기자는 피해자 박모 씨의 사례를 중심으로, 어떻게 평범한 개인 투자자가 교묘한 사기에 빠졌는지를 짚어봤습니다.
지난 2월, 직장인 박 씨는 유튜브를 보던 중 ‘하루 3% 수익 보장’이라는 문구가 담긴 광고를 접했습니다. “AI 기반 자동매매”, “글로벌 전문가 리딩 제공” 등의 문구가 화면을 채웠고, 광고 속 웹사이트(adg-exchange365.com)는 실존하는 외환거래소처럼 정교하게 구성돼 있었습니다. 영상 아래에는 수많은 댓글이 달려 있었고, “정말 수익 났어요”, “출금까지 문제없습니다” 같은 내용이 박 씨의 마음을 흔들었습니다.
호기심이 생긴 박 씨는 체험용 계정을 개설했고, 가상 환경에서 빠르게 수익이 쌓이는 것을 보고 실제 투자를 결심하게 됐습니다. 그는 처음에 500만 원을 입금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약 25만 원 상당의 수익을 실제로 출금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경험은 박 씨에게 확신을 주었습니다. ‘진짜 수익이 나오는구나’라는 생각에 그는 곧바로 추가로 2,000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하지만 이후부터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출금 요청이 “네트워크 오류”나 “세금 문제” 등을 이유로 지연되기 시작했고, 고객센터의 대응도 점차 느려지다가 이내 답변이 끊겼습니다. 불길함을 느낀 박 씨는 재차 출금을 시도했지만, 결국 웹사이트와 앱 모두 접속이 차단되었습니다. 그는 투자한 전액인 2,500만 원을 한순간에 잃게 됐습니다.
에이디글로벌 사기단은 피해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초기 소액 수익을 일부러 출금 가능하게 만든 뒤, 대규모 추가 투자를 유도하는 수법을 썼습니다. “첫 입금 보너스 5%”, “오늘 가입 시 리워드 제공” 같은 문구로 투자 결정을 서두르게 했고, SNS와 리딩방에서는 “방금 70만 원 수익 인증!” 같은 조작된 메시지들이 끊임없이 올라왔습니다. 피해자는 이 가짜 열기에 속아 점점 더 큰 금액을 맡기게 된 것입니다.
박 씨는 출금을 재요청하던 중 “세금 처리를 위해 수수료를 먼저 납부해야 한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이에 따른 추가 입금 요구까지 받았지만, 이상함을 느끼고 멈췄습니다. 그러나 이미 앱은 로그인이 차단됐고, 담당자와의 연락도 완전히 끊긴 상태였습니다.
사건 이후 확인 결과, 해당 플랫폼은 금융당국에 등록되지 않은 가짜 사이트로, 외환 거래 기능은 전혀 없었습니다. 유튜브 영상에 등장했던 ‘후기 인물’들은 모두 허위 계정이었고, 리딩방 역시 가짜 유저들이 조작한 채팅 기록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박 씨가 입금한 돈은 대포통장을 통해 범죄조직 계좌로 흘러들어간 뒤 추적이 어렵게 처리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사례는 SNS 광고, 조작된 후기, 심리적 압박을 유도하는 보너스 혜택, 초기 수익 미끼 제공 등 종합적인 심리 조작 수법을 동원해 투자자를 속이는 전형적인 ‘온라인 폰지 사기’입니다. 특히 초기 수익을 의도적으로 출금 가능하게 만들어 투자자의 신뢰를 얻은 뒤, 금액이 커지면 모든 연락을 끊는 방식은 최근 다수의 피해 사례와도 유사합니다.
박 씨는 “처음에는 단지 소액 체험이라 가볍게 시작했지만, 점점 확신이 생기면서 전 재산을 맡기게 됐다”며 “결국 초반 수익은 더 큰 함정을 위한 미끼였다는 걸 뒤늦게 깨달았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사례는 현재도 다양한 이름으로 반복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절대 손해 없는 투자’, ‘누구나 돈 버는 시스템’이라는 말 자체가 경고 신호”라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에이디글로벌 사기 사건, 가장 효과빠른 지급정지 대처해야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피해를 넘어, 정보와 신뢰, 감정까지 무너뜨리는 전형적인 디지털 금융 범죄입니다. 무엇보다 피해자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사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이들이 노린 것은 허황된 욕심이 아니라, 단지 ‘조금 더 수익을 얻고 싶다’는 아주 현실적인 투자 심리였습니다. 그리고 그 틈을 정교하게 파고든 것이 바로 이 사기 방식의 본질입니다.
이제는 이러한 구조적인 사기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것이 필수입니다. 입금 내역, 대화 캡처, 앱 설치 경로 등 증거를 최대한 수집한 뒤, 즉시 금융기관에 지급 정지를 요청하고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위와 같은 피의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신종범죄에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빠른 형사 고소 접수를 하여야 합니다. 수사 기관을 통한 범인 검거 이후 재판전 합의를 통해 피해금을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전기통신금융사기피해환급법에 따른 지급정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지급정지란, 해당 범죄에 사용된 계좌 및 이와 연루된 모든 계좌를 일시에 정지를 시킨 다음 은행의 피해구제절차에 따라 동결된 금액을 회수하실 수 있는 가장 빠르고도 효과적인 피해구제 방법 입니다.
법무법인 氣像에서는, 위 사건을 포함한 유사 사건에 대한 지급정지 및 형사고소 성공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법률적인 대응 과정에 있어 전문 법조인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상담 연락처를 통해 신속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형사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페이 마이닝 사기, 지급정지 긴급상담 BITPAY MININ (0) | 2025.05.12 |
---|---|
글로벌엑스 사칭 사기 주의보: 한 투자자의 안타까운 피해 이야기 (0) | 2025.05.12 |
모엘리스 사기, 레전드프로젝트 사칭, SIGNAL 사기앱 피해 지급정지 대처하세요 (0) | 2025.05.10 |
TIDEX 사기 거래소 지급정지 형사고소 긴급상담 (0) | 2025.05.09 |
AMAZON 사칭, 아마존 사칭 코인거래소 피해 지급정지 긴급상담 (0) | 2025.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