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소송

모엘리스 사기, 레전드프로젝트 사칭, SIGNAL 사기앱 피해 지급정지 대처하세요

법무법인기상(LAWFIRM IM&HAN) 2025. 5. 10. 18:59
반응형

모엘리스 사기, 레전드프로젝트 사칭 피해 지급정지 대처하세요

최근 투자 열풍을 틈타 교묘한 사기 범죄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특히 해외 유명 금융기관인 모엘리스를 사칭하거나 고수익을 미끼로 한 레전드프로젝트를 내세운 사기가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습니다. 이들은 정교하게 설계된 가짜 주식 앱과 매력적인 광고를 통해 일반인을 속였으며, 피해자들은 순식간에 전 재산을 잃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사기는 단순한 투자 손실이 아니라 치밀한 금전 탈취로,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모엘리스와 레전드프로젝트 사기는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피해자들은 고수익의 꿈에 현혹되어 사기꾼들의 함정에 빠졌습니다. 이들은 SIGNAL 사기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받았고, 조작된 화면을 통해 가상의 수익을 확인하며 점차 더 큰 금액을 투자하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는 30대 직장인 이모 씨의 이야기로, 그는 퇴근 후 유튜브에서 레전드프로젝트 광고를 접했습니다. 광고는 “모엘리스의 글로벌 투자 전략으로 500% 이상의 수익을 보장한다”는 문구로 신뢰를 주었고, 링크를 클릭한 이 씨는 곧바로 상담자와 연결되었습니다. 상담자는 전문가로 사칭하며 친절한 태도로 이 씨의 경계심을 무너뜨렸습니다. SIGNAL 앱 설치를 권유받은 이 씨는 소액 투자를 시작했고, 앱 내에서 수익이 실시간으로 증가하는 화면을 보며 신뢰를 쌓았습니다. 상담자는 “지금이 투자 적기”라며 더 큰 금액을 권했고, 이 씨는 모엘리스 명의의 계좌로 점차 투자금을 늘렸습니다. 그러나 사기꾼들은 ‘세금 납부’와 ‘계좌 인증비’를 명목으로 추가 입금을 요구했습니다. 처음 100만 원으로 시작한 투자는 500만 원, 2,000만 원으로 늘어났고, 결국 대출까지 받아 총 6,000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출금을 시도하자 “추가 보증금이 필요하다”는 터무니없는 요구가 이어졌고, 곧 앱은 접속 불가 상태가 되었습니다. 상담자와의 연락도 끊겼으며, 이 씨는 사기임을 깨달았지만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입었습니다.
 
또 다른 피해자인 50대 자영업자 김모 씨 역시 비슷한 수법으로 피해를 입었습니다. 김 씨는 소셜 미디어에서 레전드프로젝트 광고를 보고 “모엘리스와 함께하는 안정적인 고수익 투자”라는 문구에 끌렸습니다. 상담자의 안내로 SIGNAL 앱을 설치한 김 씨는 초기 투자로 300만 원을 입금했고, 앱에서 수익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며 추가 투자를 결정했습니다. 사기꾼들은 레전드프로젝트가 글로벌 투자 세력과 연계된 프로젝트라며 신뢰를 주었지만, 실상은 조작된 가짜 화면이었습니다. 김 씨는 ‘수익 정산비’와 ‘출금 수수료’ 명목으로 반복적인 송금을 요구받았고, 총 5,000만 원을 투자했습니다. 출금이 지연되자 의심을 품었지만, 이미 리딩방은 폐쇄되었고 웹사이트도 사라진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모엘리스 사기와 레전드프로젝트의 교묘한 수법을 보여줍니다. 피해자들은 가짜 앱과 허위 광고에 속아 소중한 자산을 잃었으며, 사기꾼들은 광고 문구와 사칭 대상을 바꿔가며 새로운 피해자를 노렸습니다. 투자 전 플랫폼의 정체성을 꼼꼼히 확인하고, 고수익을 약속하는 제안에 신중히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했습니다.

SIGNAL 사기 사건, 가장 효과빠른 지급정지 대처해야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피해를 넘어, 정보와 신뢰, 감정까지 무너뜨리는 전형적인 디지털 금융 범죄입니다. 무엇보다 피해자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사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이들이 노린 것은 허황된 욕심이 아니라, 단지 ‘조금 더 수익을 얻고 싶다’는 아주 현실적인 투자 심리였습니다. 그리고 그 틈을 정교하게 파고든 것이 바로 이 사기 방식의 본질입니다.

 

이제는 이러한 구조적인 사기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것이 필수입니다. 입금 내역, 대화 캡처, 앱 설치 경로 등 증거를 최대한 수집한 뒤, 즉시 금융기관에 지급 정지를 요청하고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위와 같은 피의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신종범죄에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빠른 형사 고소 접수를 하여야 합니다. 수사 기관을 통한 범인 검거 이후 재판전 합의를 통해 피해금을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전기통신금융사기피해환급법에 따른 지급정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지급정지란, 해당 범죄에 사용된 계좌 및 이와 연루된 모든 계좌를 일시에 정지를 시킨 다음 은행의 피해구제절차에 따라 동결된 금액을 회수하실 수 있는 가장 빠르고도 효과적인 피해구제 방법 입니다.

법무법인 氣像에서는, 위 사건을 포함한 유사 사건에 대한 지급정지 및 형사고소 성공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법률적인 대응 과정에 있어 전문 법조인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상담 연락처를 통해 신속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