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사기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화투자증권을 사칭한 사기 조직과 자칭 ‘한강연합’이라는 이름으로 공모주 사기를 벌이는 범죄 집단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들은 신뢰를 조작해 피해자들을 유인하고, 심리적 압박과 허위 정보를 통해 금전적 피해를 입히는 치밀한 수법을 사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를 바탕으로 사기 수법의 실체를 파헤치고, 대처 방안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한화투자증권을 사칭한 사기 조직은 정교한 신뢰 조작으로 피해자를 속입니다. 이들은 한화투자증권의 로고와 유사한 가짜 명함, 공식처럼 보이는 전화번호, 그리고 전문성을 띤 대화를 통해 신뢰를 쌓습니다. “고수익 보장”과 “VIP 전용 투자 기회” 같은 달콤한 제안을 내세워 피해자를 리딩방으로 유도합니다. 리딩방은 주로 메신저 앱이나 폐쇄적인 온라인 플랫폼에서 운영되며, 피해자들은 이곳에서 투자 전문가로 위장한 사기꾼들의 지시에 따르게 됩니다.
초기에는 소액 투자를 권장하며, 가짜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수익이 발생한 것처럼 보이는 화면을 제공합니다. 피해자는 이를 믿고 점차 더 큰 금액을 투자하게 됩니다. 하지만 출금을 시도하면 “계좌 인증비”, “세금 납부”, “보증금 부족” 등의 터무니없는 이유로 추가 입금을 요구받습니다. 결국 사기 조직은 연락을 끊고 잠적하며, 피해자는 투자금을 모두 잃게 됩니다.
한 40대 직장인 A씨는 한화투자증권을 사칭한 리딩방에 가입한 후 사기의 덫에 빠졌습니다. A씨는 처음 100만 원을 투자해 한 달 만에 30% 수익을 얻었다는 알림을 받았습니다. 이를 신뢰한 A씨는 사기꾼의 권유로 3,000만 원을 추가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출금을 요청하자 “해외 계좌 인증비”로 500만 원을 더 입금하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A씨는 의심스러웠지만, 이미 큰 금액을 투자한 터라 요구를 따랐습니다. 결국 사기꾼들은 추가로 “세금 납부” 명목으로 1,000만 원을 요구했고, 이를 거부하자 연락이 두절되었습니다. A씨는 총 4,500만 원을 잃고 심각한 금전적·정신적 피해를 입었습니다.
또 다른 피해자 B씨는 자녀 교육비를 마련하기 위해 투자에 나섰다가 사기 피해를 당했습니다. B씨는 리딩방에서 “한화투자증권의 독점 프로젝트”라는 명목으로 5,000만 원을 투자했으며, 사기꾼들은 매일 수익률 그래프를 보내 신뢰를 심어주었습니다. 하지만 출금 시도가 계속 실패하자 결국 사기임을 깨달았고, 투자금 전액을 잃었습니다. B씨는 “전문가처럼 보이는 사람들의 말에 속아 모든 저축을 잃었다”며 후회했습니다.
한강연합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사기 조직은 공모주 청약을 미끼로 한화투자증권 사칭 사기를 더욱 확장합니다. 이들은 “미래가치공동창출프로젝트”라는 거창한 이름의 가짜 프로젝트를 내세우며 피해자들을 현혹합니다. 특히 신주 청약을 통해 “수만 주 당첨”을 약속하며, 당첨 대금 명목으로 수억 원을 요구합니다. 실제 공모주 청약은 일반 투자자가 소수 주를 받기도 어려운 구조인데, 이들은 가짜 앱을 통해 당첨이 쉬운 것처럼 속입니다.
피해자 C씨는 한강연합의 공모주 청약에 참여해 1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앱에서는 5만 주가 당첨되었다는 알림이 왔고, 상장 후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에 C씨는 기대에 부풀었습니다. 하지만 상장 당일 주식을 매도하려 하자 “출금 수수료”로 3,000만 원을 추가로 내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C씨가 이를 거부하자 계정은 차단되었고, 투자금은 모두 사라졌습니다. C씨는 “오프라인 설명회에 참석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는 말에 행사장을 방문했지만, 약속된 장소는 텅 빈 상태였습니다.
한강연합 사기 사건, 가장 효과빠른 지급정지 대처해야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피해를 넘어, 정보와 신뢰, 감정까지 무너뜨리는 전형적인 디지털 금융 범죄입니다. 무엇보다 피해자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사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이들이 노린 것은 허황된 욕심이 아니라, 단지 ‘조금 더 수익을 얻고 싶다’는 아주 현실적인 투자 심리였습니다. 그리고 그 틈을 정교하게 파고든 것이 바로 이 사기 방식의 본질입니다.
이제는 이러한 구조적인 사기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것이 필수입니다. 입금 내역, 대화 캡처, 앱 설치 경로 등 증거를 최대한 수집한 뒤, 즉시 금융기관에 지급 정지를 요청하고 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위와 같은 피의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신종범죄에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빠른 형사 고소 접수를 하여야 합니다. 수사 기관을 통한 범인 검거 이후 재판전 합의를 통해 피해금을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전기통신금융사기피해환급법에 따른 지급정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지급정지란, 해당 범죄에 사용된 계좌 및 이와 연루된 모든 계좌를 일시에 정지를 시킨 다음 은행의 피해구제절차에 따라 동결된 금액을 회수하실 수 있는 가장 빠르고도 효과적인 피해구제 방법 입니다.
법무법인 氣像(기상)에서는, 위 사건을 포함한 유사 사건에 대한 지급정지 및 형사고소 성공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법률적인 대응 과정에 있어 전문 법조인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상담 연락처를 통해 신속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